top of page
스크린샷 2024-05-12 183844.png
다운로드.jpg
a31b9364-75d5-44.png

상하이 대한민국 임시정부

 3·1운동 직후 조국의 광복을 위해 중국 상하이에서 조직하여 선포한 임시정부.

​상하이 임시정부

 3·1운동 이후 일본통치에 조직적으로 항거하기 위하여 설립하였다. 1919년 4월 11일 임시의정원을 구성하고 대의원 30명이 모여서 임시헌장 10개조를 채택하였고 대한민국임시정부가 수립되었다.

01 - 상해임시정부 청사 (2)(로고추가).jpg
5c252075-b1ec-48.png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활동

 1919년 4월 18일 김규식을 전권대사로 파리강화회의에 파견하였다. 7월에는 스위스에서 열리는 만국사회당대회에 조소앙을 파견하여 한국독립승인결의안을 통과시켰다.

 이후 임시정부 내의 구미위원부는 미국 국회에 한국 문제를 상정시키고 1921년 워싱턴에서 개막된 태평양회의에서 한국국민의 상황을 세계여론에 알렸다.

 

 1943년 카이로 회담에서 한국의 독립이 정식으로 승인되자 1944년 프랑스·폴란드·소련 정부는 주중대사관을 통해 임시정부의 승인을 통고하였고 1945년 포츠담선언에서 한국의 독립은 다시 확인되었다.

 항일독립전쟁은 의열투쟁과 독립군단체지원·광복군창설 등의 군사활동으로 이루어졌다. 의열투쟁의 대표적인 본보기는 이봉창과 윤봉길의 의거이다.

 1932년 1월 8일 이봉창의 도쿄 의거는 실패하였으나, 4월 29일 윤봉길의 상하이 의거는 일본군 사령관 등 20여 명을 살상하는 성과를 올렸다.

 

그 결과 한국독립에 대한 여론을 대외적으로 널리 알렸으며, 아울러 임시정부는 일제의 보복을 피해 여러 곳으로 이동해야만 하였다.

10960_11620_2930.jpg
58972896-d0c5-40.png

 1920년 상하이에 육군무관학교·비행사양성소·간호학교 등을 세워 군사를 양성하는 한편 중국 군관학교에 군인을 파견하여 교육시키고 만주에 있는 독립군을 후원하기도 하였다.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확장 가상세계 기반
임시정부 체험 공간으로 떠나볼까요?

상하이

QUIZ. 독립운동자금을 획득하라. 

상하이에 세워져 임시헌장을 채택하고 해외에 한국의 독립운동을 이끌고 군사훈련을 시키기도 한 단체는 무엇인가요?

bottom of page